본문 바로가기

PI2

임상시험 : 임상시험실시기관 선정(Site selection) 절차 (2/2) 이번 포스팅에서는, 지난 포스팅에 이어,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임상시험실시기관(Site)를 선정하는 절차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. 지난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지난 포스팅을 먼저 참고해주세요. https://clinicaltrials-info.com/entry/%EC%9E%84%EC%83%81%EC%8B%9C%ED%97%98-%EC%A4%80%EB%B9%84-%EC%9E%84%EC%83%81%EC%8B%9C%ED%97%98%EC%8B%A4%EC%8B%9C%EA%B8%B0%EA%B4%80Site-%EC%84%A0%EC%A0%95-%EC%A0%88%EC%B0%A8%EC%97%90-%EA%B4%80%ED%95%98%EC%97%AC-12 임상시험 준비 : 임상시험실시기관(Site) 선정 절차에 관하여 (1.. 2022. 8. 22.
임상시험 : 임상시험실시기관 선정(Site selection) 절차 (1/2) 이번 포스팅에서는,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임상시험실시기관(Site)를 선정하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임상시험은 경우에 따라, 임상시험실시기관이 1개일 수도 있고, 여러 개일 수도 있습니다. 주로 1상 임상시험인 경우에는 1개의 기관에서 임상시험이 시행되고, 이 기관은 임상시험 설계단계에서부터 이미 정해져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임상시험계획서(Protocol) 작성 전부터, 연구자(의사)와 긴밀히 논의하여, protocol을 작성하기 때문입니다. 그렇지만, 2상이나 3상 임상시험은 등록해야 할 시험대상자의 수가 많기 때문에, 원활한 대상자 모집을 위해 임상시험실시기관이 대부분 여러개입니다. 적게는 10개에서 많게는 100개까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또한, 임상시험이 한 국가에서만 시행될 수도 있고.. 2022. 8. 18.
반응형